2009년 1월 30일 금요일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 홍세화가 만난 열린 마음의 빠리

홍세화 씨의 신문 칼럼을 종종 읽는데, 여러 모로 배울 점이 많은 훌륭한 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긴 글을 읽고 싶은 마음에, 대표작 격인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자>을 '이제야' 읽었다. 베스트셀러라면 괜히 미워하는 내 별난 심보 덕분에 초판 발행 후 13년만이다.

한 사회와 다른 사회의 만남

아쉬운 점도 있지만, 생각거리가 많고 재미있는 책이다. 보통의 외국생활 회고담보단 영양가가 훨씬 높다. 피상적인 풍습의 비교에 머무르지 않고, 그 근원인 ‘생각의 틀’을 비교한다. 프랑스의 민주주의 정신과 똘레랑스를 읽다 보면, 우리에게 강요된 생각의 틀이 얼마나 작은 것인지 돌아보게 되고, 민주주의 국가의 주권자로서 ‘우리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한 사회가 발전하려면 외부 세계와 주고받음이 필수적이다. 해외여행이나 유학도 좋지만, 타인의 경험을 읽는 것도 아주 좋다. 특히 이 책은 ‘나가서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방법’의 모범 답안에 가깝다. 20년 이상 관찰한 결과물이므로 일시적인 호감-반감이 아닌, 프랑스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돋보인다.

아쉬운 점은 산만한 구성이다. 아마 출판사 측에서 재미를 배가할 목적으로 내용 순서를 꼬아놓은 듯한데, 덕분에 가벼운 인상만 배가됐다. 시간순서에 따르면서 드문드문 뒤를 돌아보는 구성이었으면, 훨씬 더 감동적이었을 거다. 플래시백 남발은 독자의 집중을 방해할 뿐이다.

넓은 독자층을 대상으로 쓴 책이니만큼, <홍세화 칼럼>과 같은 밀도 높은 주장은 없지만, “한 사회와 다른 사회의 만남”을 엿볼 수 있어서 좋고,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도 많다. 아직까진 홍세화 씨의 존재 자체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텐데, 이 책이 많이 팔리고 읽혔다는 사실이 반갑다.

침묵하는 민주주의는 없다

읽다 보면 화두를 여럿 발견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
개정판의 136쪽을 보면, 저자가 프랑스인과 말다툼한 일화 한 토막이 실려 있다. 수수료 문제로 현지인 영업사원과 심한 논쟁을 벌인 저자는 “이제 저놈하고 말도 안 섞어!”하고 앙심을 품지만, 다음날 그 프랑스인은 아무 일 없다는 듯 웃으며 인사를 건네고, 저자는 그 모습에 당황하고 만다. 이 일화 뒤에 저자가 덧붙인 해설은, 그 프랑스인은 저자의 ‘주장을 반박’했을 뿐이지만, 천생 한국인인 저자는 ‘내 주장을 반박한 그 사람을 미워’했’다는 것이다.

평소 비슷한 생각을 많이 했던 터라, 저자의 지적이 통쾌했다. 점점 나아지는 추세라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는 ‘논쟁의 기술’이 부족하다. 논쟁은 드물고, 언쟁(말싸움)은 너무 흔하다. 논쟁은 논리의 싸움, 주장 vs 주장인 데 반해, 언쟁은 비생산적인 자존심 싸움이고 그 결과는 대개 미움이다. 의견이 다르다는 게 증오의 이유가 되는 사회가 과연 정상일까?

논쟁이 불가능한 사회에서 민주주의는 넌센스다. 수없이 많은 주장으로 가득 찬 사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려면, 토론과 논쟁은 필수다. 다수결의 논리는 최후의 수단일 뿐이다.

그런데 다수결 ‘승부’가 민주주의 전부라고 믿는 사람이 적지 않은 듯싶다. 구성원 모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는 노력 없이, 승자가 권력을 오로지하는 것이 '우리의 민주주의' 아닌가. 일단 승자가 되면 소수의 의견은 묵살해도 된다고 생각하며 논쟁 자체를 거부하는데, 그건 민주주의가 아니라 ‘다수의 독재’일 뿐이다.

더 좋은 세상에서 살고 싶다면, 우리 스스로 입과 귀를 열어야 한다. 침묵은 금이 아니다. '개똥'이다. 원하는 바를 떳떳이, 그리고 분명하게 말하자. 그리고 상대의 말에 귀를 기울이자. 나와 다른 의견을 말하더라도 미워하지 말자. 이해하고 설득하자. 가슴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링크 – 홍세화의 아름다운 나라, 홍세화 칼럼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 6점
홍세화 지음/창비(창작과비평사)

댓글 1개:

  1. trackback from: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지은이가 프랑스에서 택시 운전을 하며 망명 생활한 이야기와 한국에서 있었던 일들의 회상이 담겨 있는 책이다. (빠리 택시, 출처: 마켓플레이스) 프랑스에서 망명 신청할 당시 지은이는 프랑스에서 무역회사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황당하게도 그는 자신이 남조선민족해방전선에서 유럽으로 파견한 조직원이라는 신문 기사를 접한다. 그리고 남민전 조직원들이 한국에서 체포됐다는 소식도 듣는다. 그가 남민전 조직원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프랑스에 있었..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