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0월 11일 목요일

남한산성 - 고통과 치욕 속에서 찾는 삶의 무게

공들인 문장을 읽는 즐거움

작가 김훈의 문장은 쉽게 읽히지 않는다. 호흡이 긴 문장이 많고, 요즘엔 낯선 옛 낱말들도 많다. 정신을 바짝 차리고 읽지 않으면 읽고도 뜻을 알지 못하기 십상이다. 그렇지만 이야기와 상관없이 무심하게 펼쳐지는 풍경 묘사는 한 단어 한 단어 곱씹을수록 소설 읽기의 즐거움을 다시 깨닫게 한다. 김훈 소설의 큰 매력이다.

아주 간결한 문체 또한 작가의 장기다. 힘이 넘치고 묵직한 단문은 헤밍웨이를 연상케 한다. 그러나 헤밍웨이의 단문이 언어적 ‘아름다움’을 돋보인다면, 김훈의 단문은 극적인 장치로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듯싶다. 소설 속 인물들의 고독과 비장감은 무심하고 묵직한 단문들로 더욱 돋보인다. 유독 남성 독자가 많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남성적인 단문일 게다.

날 것과 남성다움의 미학

내용은 알려진 대로 병자호란 동안 인조 임금이 파천한 남한산성 안의 이야기다. 역사소설은 흔히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는 쪽으로 빠지곤 하는데, 이 소설은 그와는 거리를 둔다. 오히려 우리 역사의 수치스러운 한 시기에 현미경을 들이댄다. 극한의 고통과 치욕을 감내하고 살아남는 과정이 이 소설의 전부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여러 가지 비판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고두고 읽을 만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권하고픈 작품이다. 물론 내 취향과 잘 맞기 때문인데, 자학적인 남성다움의 미학이라든가, 문제적 인물들에 대한 옹호, ‘날 것’ 냄새가 진동하는 묘사 들은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싫을 수도 있겠다. 작가의 팬으로서 이에 대한 변명을 조금 해볼까 한다. ‘남성다움의 미학’은 요즘에는 후진 것인지도 모른다. 메트로 섹슈얼이 득세한 세상에 ‘남성다움’이라니. 하지만 나를 비롯한 어떤 부류의 남자들은 분명 남성다움에 대한 동경이 감추고 살아간다. 여성차별이나 마초, 폭력과는 다르다. 그냥 고도산업사회에 길들여진 순한 남자들의 깊은 곳에 감춰진 비밀스런 환상이라고나 할까? 작가는 모욕으로 여길지도 모르지만, 내게 김훈 소설은 고급스러운 홍콩 느와르와 같은 구실을 하기도 한다.

이렇듯 하드보일드한 인물들은 저마다 주어진 일을 수행할 뿐이다. 해야 하니까 할 뿐. 적이나 약자에 대한 연민에 괴로워하지만, 소임을 맡은 자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서로 잡아먹을 듯 논쟁하는 척화파의 김상헌과 화친파의 최명길 또한 어전에서 물러나면 서로를 존중하며 연민의 정마저 보인다. ‘너의 가련함은 알지만 나로서는 어쩔 수 없구나.’라는 독백이 장면마다 들리는 듯하다. 이런 설정은 고통을 초래한 지배층을 위한 변명으로 읽을 수도 있고, 운명을 감내하는 조용한 영웅의 모습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역사보다는 사람

작가는 의도적으로 병자호란에 이르는 과정을 생략하고, 고통스러운 상황 자체에 집중한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 지배층의 무능과 아집을 운운하는 건 무의미하다. (이미 다른 작품들이 실컷 욕해줬기도 하고.) 그저 고통과 치욕을 관통하는 모습을 별다른 설명없이 ‘보여줄 뿐’이다.

그 과정에서 부각되는 것은 ‘삶’에 대한 의지다. 아니, 의지도 아닌 본능이다. 이 소설은 역사소설이지만, 역사는 그야말로 배경일 뿐이다. 진짜 주인공은 ‘고난 속에서 사그라지지 않는 삶’이다. 왕도, 신하도, 백성들도, 조선이라는 나라도, 극한의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그 풍파에 산화되지 않고 어떻게든 살아남았다. 그 결과, 우리가 이 땅에서 그들을 우리의 조상이라 여기고 살고 있다. 작가가 묘사하는 삶은 고통스럽고 때론 추하지만, 살아있는 한 살아야만 하는 것이다. 삶은 결과론일 수밖에 없다. 살아남은 쪽이 진짜 승리자다. 해피엔딩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의 마지막 단락에게 작가의 이런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약간 진부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기분 좋은 끝맺음이다.)

이 작품을 읽는 내내 ‘다른 분들은 이 소설을 어떻게 이해할지’ 궁금했다. 우리 사회는 분명히 민족주의적 성격이 강한 동시에, 약소국이었던 과거에 대한 자조(自嘲)적인 말들도 많다. 분명 어떤 사람들은 척화론과 주화론 사이에서 명확하게 입장을 밝히지 않는 작가에 대해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명분과 이득도 열심히 살아남은 사람 앞에서는 초라하게 보일 뿐이지 않은가.

남한산성 - 8점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8일 월요일

New Ideas from Dead Economists - 위트 넘치는 경제학 사상史

국내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로 번역된 책.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이고, 국내에서도 아마 꽤 팔렸을 거다. 부제는 ‘현대 경제사상 입문 an introduction to modern economic thought’. 이게 제목이었다면 아마 베스트셀러는 어림없었겠지만, 내용은 부제가 정확하게 설명한다. 경제학의 역사를 중요한 경제학자와 학파를 중심으로 재밌게 잘 풀어낸 명저다. 저자의 촌철살인의 유머가 지루할 법한 내용에 좋은 양념이 됐다.

아마 <경향신문>에 실린 서평인 거 같은데, 어떤 교수님이 “저자의 자유주의적 관점이 거슬린다.”라고 쓴 구절이 기억난다. 내겐 아주 거슬릴 정도는 아니지만, 저자는 분명 사회주의적 이상에 대해 냉소적이다. 내 정치적 성향은 중도 – 혹은 국내 기준으로 중도 좌파? – 라고 생각하는데, 이 책은 내 기준에서 한 걸음 반 정도 오른쪽에 서 있다. 어쩌면 두 걸음 정도?

시장경제 자체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마르크스에 대해선 가혹하리만큼, 인격모독에 가까운 표현도 서슴지 않지만, 그 외 여러 (시장) 경제학파에 대해선 비교적 공정한 시선을 유지한다. 각 장마다 각 학파의 학설을 그들의 입장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독자가 저자의 의도를 오해할 법도 하다. 하지만 조금 더 읽어보면, 그에 대한 반론이 반드시 뒤따라 나온다. 이 책은 읽다가 중간에 그만두면 아니 읽은 만 못하다. 주장과 반론 모두를 읽어야만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있다. 불필요한 선입견을 피하려면 저자가 ‘아빠 부시’ 시절 백악관 경제 관료였다는 사실은 모르는 편이 낫겠다.

경제학 책치고는 무척 재미있고 쉬운 편이다. 그래프와 수식이 난무하는 일반 경제학 개론서를 절간 염불소리에 비하면, 이 책은 마당놀이라고나 할까. 경제학 이론뿐만 아니라, 경제학자의 개인적인 성장배경이나 역사적 배경 등 재미있는 이야기가 아주 많다. 경제학 교수인 저자의 강의를 꼭 들어보고 싶을 만큼, 저자는 머리 아픈 경제학을 재미있게 포장하는 재주가 대단하다.

다만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경제학 개론서를 한권 옆에 끼고 보는 편이 좋겠다. 모르는 내용이 나올 때마다 다른 책과 인터넷을 찾아보며 읽었는데, 그냥 개론서를 읽는 것보다 학습효과가 10배 이상은 되는 듯. 학교에서 교양 경제학 개론을 들을 땐 좀체 이해가 어렵던 내용도 거짓말처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대학 신입생들의 경제학 개론 보조 교재로 이 책을 활용하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걔네들이 경제학에 관심이나 있을까. 후후.

오랜만에 원서를 읽었는데, 모르는 단어가 많이 나와서 애먹었다. 다 읽는데, 다른 책의 2배 이상 걸린 것 같다. 보통은 문장 내용만 이해되면 부사나 형용사는 모르더라도 사전을 찾지 않는데, 이 책은 찾지 않을 수가 없었다. 반어적 문장이 워낙 많은데, 그런 문장들은 긍정/부정이 형용사나 부사로 결정돼버리기 때문. 형용사와 부사를 무시하면 의미를 정반대로 이해하기도 하고,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게 된다. 그렇지 않아도 생소한 경제학 개념에다가 해석까지 꼬여버리면, 참 힘들다. 게다가, 19세기 학자들 편에서는 19세기 단어를 사용하고, 당시의 원문들을 팍팍 인용한다. 멋있긴 하지만 나 같은 비숙련 영어사용자에겐 아무래도 버겁다. 위트 넘치는 문장이 정말 재미있긴 한데, 그 유머를 이해하는 시간이 꽤 걸린다. 진도가 너무 안 나가니 정말 재미있는 문장도 가끔은 짜증스럽다. 후후후.

하지만 어느 정도 영어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이 책을 거치면서 실력을 한 단계 높힐 수도 있겠다. 번역판은 읽어보지 않았지만, 나쁘지 않다면 번역판을 읽는 게 더 좋을 듯. 원문의 말장난을 어떻게 번역했을지 궁금하다.

굉장히 재미있고 유익한 책이지만, 경제학 교양서가 처음이라면, <괴짜 경제학>이나 <경제학 콘서트>를 먼저 권하고 싶다. 그런 류의 비교적 쉬운 책을 읽고 난 뒤 경제학에 대한 더 큰 흥미가 생겼다면, 본격적인 경제학 개론서와 함께 이 책을 읽으면 그야말로 탁월한 선택.

New Ideas from Dead Economists (paperback) - 8점
토드 부크홀츠 지음/P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