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27일 화요일

나는 비와 함께 간다 단평

나의 감상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장황한 이야기와 강박적 악취미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이야기.

I come with the rain

근 몇 달 간 극장에서 본 영화 가운데 그나마 가장 낫다. 마음에 들지 않는 구석이 없진 않지만, 그 덕분에 이도 저도 아닌 독특한 뒷맛이 흥미롭다. 게다가 이만큼 진지하고 대담하게 말을 걸어오는 작품을 외면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주조연 배우들의 국적만큼이나 다채로운 이미지와 생각이 묘한 조합을 이루는 것 역시 약간 불편하면서도 재미있다.

그렇지만 흥행은 어려울 게 틀림없다. 월요일 오후 10시에 보긴 했지만, 관객은 나를 포함해 넷뿐이었고, 심지어 내 근처에 앉았던 커플은 중간에 나가버렸다. 집에 돌아와서, 웹에 올라온 감상을 대충 둘러봤는데, 저주에 가까운 평까지 심심치 않게 보여 마음이 무거워졌다. 나 같은 취향은 점점 더 소수가 되어가는 느낌이다.

사실 나는, 이렇게 흥미로운 이야기를 어떻게 그렇게나 싫어할 수 있는지 의아하다. 편집이 불친절하고 배경음악이 악취미적인 게 사실이며 전체적인 짜임새도 '웰메이드'와는 거리가 한참 멀긴 하지만, 고통과 구원이라는 주제를 이렇게 흥미진진하게 풀어낸 건 좋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신약의 재해석으로 불 수 있는, 어떻게 보면 뻔한 이야기지만, 누아르-스릴러와 결합해서, 말초적 자극과 종교적 성찰 사이를 오가는 재밌는 작품이 됐다.

누군가는 '배우들이 영화를 살렸다.'라고 평했지만, 사실 배우들의 연기가 특출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배우들의 밋밋한 연기를 주제가 살리는 인상이다. '고통과 구원'이 주제라면, 다들 조금 더 절박함을 표현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클라인(조쉬 하트넷)이 느끼는 혼란과 고통은 가슴에 와 닿지 않고, '능력자'치곤 카리스마가 부족한 키무라 타쿠야는 미스캐스팅이란 생각마저 든다. 이병헌이 연기한 수동포라는 인물은 다소 모호하긴 하지만, 그 모호함과 뵨 사마의 안정된 연기 덕분에 상당히 매력적이다. 연쇄살인마 하스포드도 전형적이긴 하나 나름 매력적인 인물인데, 여주인공 릴리는... 감독 사모님이 여주인공을 맡는 건 좀 참아주셨으면.

그리고 라디오헤드는, 나도 팬이지만, 다음 작품에서는 작작 좀 우려드시길. 이 정도면 BGM 테러다.

2009년 10월 21일 수요일

씨네21에 실린 '39계단' 소개글

39계단

씨네21에 '39계단'을 소개하는 글이 실렸다.
훌훌 페이지를 넘기다가, 눈에 익은 표지가 나와서, 깜짝!!
부디 많이 팔려서 후속작도 나올 수 있으면 좋으련만.

링크 - 씨네21 [도서]쫓기는 자의 심장박동

2009년 10월 10일 토요일

한글과컴퓨터 오피스 2007 홈에디션

오픈오피스를 주로 쓰고는 있지만, 4만 원 - 정확히는 39,600원 - 이라는 비교적 싼 가격과 한컴 오피스 2010 무료 업그레이드의 유혹은 강력하다. 한/글을 쓰시는 분이라면 지금이 구입 적기. 11번가에서 쿠폰, OK캐시백, 포인트를 총동원해서 35,990원(배송비 무료)에 샀다.

패키지 내용물은...
CD #1 (한글, 넥셀, 슬라이드, 사전, 타자연습), CD #2 (사전데이터, 문서마당, 그리기마당, 글꼴), 사용권 증서, 오피스 2010 무상 교환권, 씽크프리 온라인 1GB 평생무료 쿠폰, 한컴교육 할인 쿠폰 등.

2009년 10월 9일 금요일

교하도서관 인문학 강좌 - 개념미술

지난 9월 24일 '안티고네'에 이어, 두 번째 인문학 강좌였다. 주제는 '개념미술'.
이야기로 풀었던 지난 강좌보다는 조금 딱딱하지만, 역시 재미있고 유익했다. 전위적 현대미술작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배경지식을, 기초 수준이나마 얻을 수 있어서 보람찬 시간이었다.

내가 이해한 개념미술은, 작품 자체보다 작품에 담긴 예술가의 생각을 우선하는 사조다.
기존의 미술 작품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는 게 보통이다.

개념 → 과정 (재료, 작업행위) → 작품 → 감상 → 미술시장 (화랑, 미술관을 통한 상품화)

그런데 개념미술은 이 가운데 '개념'이 미술의 본질에 가까우며, 나머지 과정은 부차적인 것으로 여긴다. (혹은 부차적이지 않느냐고 묻는다.) 이런 문제의식을 처음 제기한 이가 바로 프랑스의 예술가 마르셀 뒤샹. 개념미술의 시초라고 하면 뒤샹의 '레디메이드' 연작을 우선 꼽는데, 이는 흔한 기성상품을 가져다가 예술가의 개념을 적용시켜 예술작품으로 바꾸는 작업이었다. 이 작업에는 과정(작품 구현)이 생략되고, 대신 개념이 선택을 거쳐 작품으로 탈바꿈한다.

뒤샹은 과정만 생략했지만, 극단적인 개념미술가들은 문서과 도표 등으로 개념만 제시하고 작품은 아예 만들지 않는다고 한다. 이 정도면, 미술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거죠! ^^

과정미술(process art) 역시 개념미술의 범주에 넣는데, 이는 작품이 아닌 '작업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또는 작업 과정이 곧 작품이다.) 이게 참 재미있는데, 행위예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행위예술과 달리 유무형의 작품을 가정한다. 그러나 막상 그 결과물에는 큰 관심이 없다.

그 밖에도 대지미술(land art), 개념적 오브제, 사진을 이용한 개념미술 등을 소주제로 다뤘다.

결국 개념미술은 '미술에 관한 미술'로 정의 내릴 수 있다. 미술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비전통적인 방법을 고민하다 보니, 자연스레 미술의 정의 자체를 시험하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필연적으로 기존 미술작품과 미술품 '시장'에 대한 도전과 조롱으로 비춰질 수밖에 없다.

장난 같은 현대미술작품을 보고, ‘이게 미술작품이야?’라는 의문이 들었다면 제대로 본 거라는 말씀. 그리고 진지한 감상자라면, 거기서 그치지 말고, 작품의 미술적 맥락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을 시작할 때 진정한 작품 감성이 시작된다. 개념미술은 감상자를 자극하고 질문을 던지는, 도발적이고도 지적인 미술이다.

다음은 강의 중에 재미있게 본 작품들(을 올릴 생각이었으나 귀찮은 나머지 나중에 올릴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