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 7일 금요일

중국에서 온 편지 - 슬픈 오이디푸스의 독백

<내게 거짓말을 해봐> 이후 장정일 씨가 발표한 첫 소설이다. 이전 글 ‘장정일은 잊지 않았다‘에서 밝혔듯, 나는 몰상식한 사법부의 폭력이 작가 장정일에게 심한 상처를 입히지 않았을지 걱정스럽다. 상상력과 창작 의지가 꺾이지 않았을까, 하는 걱정이다.

그 실마리를 발견하기를 기대하며 99년 11월에 초판이 나온 이 중편을 읽었다. 그리고 바라던 해답의 절반은 얻은 듯하다.

새롭고 놀라운 장정일 – 독백과 역사

소설은 진시황의 장남 ‘부소’가 독백을 하는 형식이다. 첫 쪽 처음 몇 문장을 읽자마자, 희곡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아니나 다를까, 작가는 이 작품을 <일월(日月)>이란 희곡으로 고쳐 썼고, 올해 6월엔 무대에 올렸다고 한다. <일월>은 희곡집 <고르비 전당포>에 수록되어있다. 마침 도서관에 있기에 빌려 봤는데, 소설과 희곡을 비교해 읽는 것도 무척 재미있었다. 같은 내용의 두 작품이 분위기는 자못 다른 점이 흥미롭다.

일인극 속 배우가 여러 인물을 연기하듯, 부소의 독백은 시황제를 둘러싼 역사적 인물들의 목소리로 변하기를 반복하고, 기원전 200년경의 중국과 현대의 한국 사회를 거림낌 없이 넘나든다. 작가는 이 변화무쌍한 독백을 줄 바꿈 한 번 하지 않고 비단결처럼 매끄럽게 잇는다. 망설임 없이 한 호흡에 써내려간 듯한 이 아름답고 처절한 독백은 남은 페이지가 적어짐을 안타깝게 한다. 책을 다 읽고 시간이 지난 지금, 책을 읽었다는 기억보다도 부소의 목소리를 내 귀로 직접 들었다는 착각이 더 그럴 듯하게 생각되니 묘한 기분이 든다.

독백 다음으로 눈에 띄는 특징은 역사적 사실의 나열이다. 역사소설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작품임을 감안해도, 적은 분량에 비해 과하다 싶을 만큼 상세한 역사를 이야기한다. 어쩌면 이런 측면은, “정신적 외상으로 위축된 상상력을 역사를 수혈 받아 보완하려고 한다”는 의심을 살만 하다. 사실 <삼국지>도 같은 맥락으로 보이고.

하지만 굳이 부정적으로 보고 싶진 않다. 딱히 안 될 것도 없는 일이고, 작품 자체가 충분한 완성도와 독립된 매력을 갖췄다면, 일부러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을 듯싶다. (그런데 다음 발표한 장편 <보트 하우스>에선 자기반복적인 모습을 보여서 조금 걱정스럽긴하다.)

작가는 역사의 틈새에 상상력을 채워 넣는다. “재료가 워낙 좋아서 양념을 조금만 해도 좋은 요리가 될 거야.” 이미 충분히 극적인 역사를 밑그림으로 놓고 능란한 솜씨로 주제를 꽃피운다. 마치 역사적 사실마저도 작가가 창작한 것처럼 이 작품은 사실과 상상이 아귀를 잘 맞는다.

낯설지만 편안한

형식면에서 이전의 장정일 소설과 분명히 다르다. 장정일 소설의 특징이라고 할 만한 소설 장르에 대한 해체는, 뭐랄까, 방법이 달라졌다. 얼핏 겉모양만이라도 전통적 소설의 형태를 띠었던 이전과 달리, 이번엔 아예 소설의 외형을 띠지 않으며, 작가도 부소의 입을 빌어 장르 자체를 한정하지 말라고 말한다.

이건 소설도 아니고 평전도 아니고 역사는 더욱 아닐 겁니다. 되기로 한다면 겨우 읽을거리나 될까요.

그런데 오히려 읽기는 더 쉽다. 이전 작품들이 소설 구조에 익숙한 독자를 당혹케 한다면, 이 작품은 익숙함을 느끼게 한다. 이야기의 뼈대를 이루는 진시황과 부소의 이야기가 그 나름의 기승전결을 갖기 때문인 듯하다. 그런 이유로 나는 장정일을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 이 작품 가장 먼저 권할 생각이다.

슬프고 나약한 오이디푸스

처음엔 진시황 이야기를 복귀작으로 고른 장정일 작가의 선택이 의아했는데, 책을 읽어가면서 탁월한 선택임을 깨달았다. 압도적인 체제의 폭력 앞에 장정일 씨가 느꼈을 분노와 무력감을 생각하면, ‘분서갱유’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복합된 진시황-부소 이야기가 작가 자신의 이야기임을 짐작할 수 있다.

분서갱유 중 분서는 물론 작가가 몸소 경험한 문학에 대한 폭력으로 읽을 수 있겠다.

갱유의 경우가 흥미로운데, 이는 효를 기반한 부-자 관계를 힘으로 지배하고 복종하는 군-신의 관계로 변화시킨다. 유학을 묻어버린 결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표면으로 부상하는 셈. 재미있는 건 유학을 폐한 진시황 스스로가, 거의 전능에 가까운 힘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들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는 점이다. (꽤 이름이 알려진 어떤 분이 유교문화권에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없거나 미약하다, 라고 주장하신 기억이 나는데, 도대체 누구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동의하지 않지만, 다시 생각해볼 만한 주장이다.)

아버지의 힘과 아들에 대한 불신(두려움). 그에 대한 부소의 반응은 서글프리만큼 무력하다. 망설임 없이 아버지에게 굴복한다. 아버지의 무정함에 원망과 저주를 퍼붓지만, 결국 그의 선택은 아버지를 죽이는 대신 아버지 뜻에 따라 자신이 현실 세계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아버지를 죽이지도 않았고 어머니와 아버지의 제국을 탐내지도 않았건만, 슬프고 나약한 오이디푸스는 스스로 눈이 멀어버린다. 부소의 가면을 쓴 자가 바로 작가임을 기억하면, 가슴이 아릴만큼 슬픈 고백이다.

진시황 이야기에 빠질 수 없는 몽염 장군도 물론 등장하는데, 부소와의 관계가 꽤 재미있다. 나머지 내용은 읽으실 분의 즐거움으로…

그러나 부소는 살아남는다

이 작품이 비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후반부에는 예술가의 빛나는 자부심이 숨김없이 드러난다. 모순되는 말이지만, 결국 부소는 무력하지 않다. 현실 사회를 상징하는 수도 함양이 그를 추방했다면, 유배지인 제국의 북쪽 끝은 피난처이자, 다시 태어난 그가 자라나는 요람이다. 그곳에서 부소는 항상 목말랐던 부성애를 대신할 무엇을 찾는다. 그리고 (뜻대로 되진 않지만) 책을 쓰는 것으로 아버지에 대한 복수를 시작한다.

그건 그렇고, 전능하신 시황제께서는 그토록 바라시던 영생불사약을 손에 넣으셨던가요?

중국에서 온 편지 - 8점
장정일 지음/작가정신

댓글 없음:

댓글 쓰기